시놀로지 NAS에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1. 워드프레스 설치 개요

워드프레스 설치와 관련하여 시놀로지 NAS에 설치하려면 아래 내용에 대해서 어느정도 지식이 있어야 진행이 가능합니다.

  1. 공유기 포트포워딩
  2. 역방향프록시
  3. DDNS 설정

이 글에서는 위 1,2,3번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이드가 없으므로 해당내용에 대해 사전학습을 하시고 워드프레스 설치 진행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저는 시놀로지 DS923+ 및 DSM 7.2.1 환경에서 구축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시놀로지 기본 패키지로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기본 패키지로 설치를 진행 할 경우 설치과정이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도커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로 설치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웹스테이션과 결합하여 수동으로 워드프레스 설치가 가능합니다. 본 글에서는 세번째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도메인이 있어야 합니다. 저의 경우 미국 호스팅업체인 Cloudflare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였습니다. 만약 도메인이 없으시면 시놀로지 기본 도메인(xxx.synology.me) 로 운영하시다가 도메인을 변경하시면 되겠습니다.



2.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한 사전작업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여러가지 작업이 필요합니다.

우선 패키지 센터를 실행하시고 아래의 패키지에 대한 설치를 진행합니다.

가지고 계신 볼륨 중 nvme 또는 SSD로 구성된 볼륨이 있다면 반드시 해당 볼륨에 설치를 진행하셔야 조금이라도 빠른 응답을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 웹스테이션
  • MariaDB 10(설치 시 비밀번호 입력필요. 비밀번호 메모하세요)
  • PHP 8.0 / PHP 8.2
  • phpMyAdmin
  • Web Station
  • Apache HTTP Server 2.4

위 패키지에 대한 설치를 진행 중 추가적으로 몇 가지 패키지가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는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당연히 함께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제일 먼저 DB에 대한 설정을 진행하겠습니다. 패키지 센터에서 phpMyAdmin을 실행합니다.

로그인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명에는 root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MariaDB 설치 시 입력한 비밀번호 입니다.

로그인이 완료되면 DB를 생성합니다. 기존 인터넷 자료들에는 사용자들 따로 생성하라는 권고가 있습니다. 당연히 보안측면에서는 별도 생성하는게 좋지만 하지만 우리는 개인 블로그이기 때문에 본인 말고는 접속할 사람이 없습니다. 그냥 root를 사용하기로 합니다.

화면 좌측 상단 ‘새로운’ 을 선택합니다. DB명을 입력하고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DB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창을 닫고 다음 작업으로 진행하겠습니다.

3. 웹스테이션 생성

이제부터 워드프레스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수동으로 설치를 진행하기에 먼저 패키지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여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플고 특정폴더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해당 폴더는 별도의 웹 관련 폴더를 생성하시고 업로드 하시는게 향후 관리하기 편리합니다.

저의 경우는 www 라는 공유폴더를 생성하고 업로드 하였습니다.

이제 웹 스테이션을 통해 호스트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DSM 업데이트 후 가상호스트 관련 내용이 삭제되어서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시는 부분입니다.

패키지센터에서 Web Station을 실행합니다. 실행 후 웹 포털 > 웹 서비스 포털을 선택합니다.

서비스에서 새 웹 서비스 만들기를 선택후 생성을 선택합니다.

기본 스크립트 언어 웹사이트를 선택 후 프로필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이후 아래와 같이 별도 설정없이 진행합니다.

서비스 유형은 PHP 8.2 를 선택하고 방금 생성하였던 프로파일을 선택합니다

이름과 설명을 본인의 내용으로 입력 후 문서 루트는 이전에 워드프레스를 적용한 폴더를 선택합니다. 시간설정은 따라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설정확인 후 권한 관련 알림창이 발생하는데 확인을 선택합니다.

바로 웹 서비스 포털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만약 나타나지 않는다면 따로 실행해주셔야 합니다.

웹 포털 > 생성 을 선택 후, ‘웹 서비스 포털’을 선택하고 방금 생성한 프로파일을 선택합니다.

포털유형은 ‘이름기반’, 포트는 80과 443을 체크하는데 만약 역방향 프록시에서 80과 443을 이미 설정하였다면 ‘도메인이 이미 사용 중’ 이라는 에러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HTTP와 HTTPS 포트를 따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HSTS도 체크해주고 ‘생성’을 클릭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도메인 이름에 www 가 붙은것과 붙지 않은것 2개를 만들어줍니다.

저 같은 경우 역방향프록시를 80/443 으로 설정하여 사용중이라 별도의 포트로 변경하여 생성하였습니다.

웹 스테이션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4. 권한 생성

앞장에서 다운로드 및 압축을 해제한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의 디렉토리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file station을 실행하고 워드프레스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 후 속성을 선택합니다.

소유자를 http로 변경하고 ‘이 폴더, 하위 폴더 및 파일에 적용’에 체크를 하고 저장을 진행합니다.

다시 한번 속성을 클릭합니다.

권한 탭을 선택 후에 생성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또는 그룹에서 http를 찾아서 선택해 준후에 읽기와 쓰기 권한에 체크해주고 완료를 클릭합니다.

‘이 폴더, 하위 폴더 및 파일에 적용’에 체크를 해주고 저장합니다.

권한 설정을 완료하였습니다

5. 워드프레스 설치

이제 마지막으로 워드프레스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아까 본인이 생성한 웹 스테이션의 포트로 접속을 진행합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및 사용자명,비밀번호는 앞서 설정한대로 입력해줍니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트의 경우 아래 값을 복사하여 입력해줍니다.

localhost:/run/mysqld/mysqld10.sock

테이블 접두어는 알아보기 쉽게 접두어를 붙이는건데 본인이 직접 DB에 접속해 볼일이 없다면 그대로 사용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사이트 제목 및 사용자 명등을 입력하면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됩니다.

사용자명은 로그인 아이디 이며 글쓴이로 표시될 이름은 나중에 별명에서 변경할 수있습니다.

모든 입력을 끝마치고 워드프레스 설치를 누르면 드디어 설치가 완료됩니다.

첫페이지가 열렸습니다. 이제 블로그 첫 글을 쓸수있겠네요? 아닙니다. 이제부터 할일이 더 많습니다…워드프레스 공부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6. 인증서 발급

https 접속을 위해서 인증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물론 없다고 접속을 못하는건 아니지만 크롬에서 계속 보안경고창이 발생하므로 접속할때마다 별도로 접속을 눌러줘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합니다.
참고로 시놀로지 도메인(xxx.synology.me)을 블로그 도메인으로 사용하실분들은 기존에 발급받으신걸 사용하시면됩니다.새로 도메인을 구입하신 분들만 발급이 필요합니다.

제어판 > 보안을 선택하고 인증서탭에서 추가를 선택합니다.

새인증서 추가를 선택

도메인 이름에는 www 빼고 입력해 주시고 주제 대체 이름에는 www 뺀것과 붙인것을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완료를 누르면 인증서가 발급됩니다.

마지막으로 설정을 선택하고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주소에 방금 발급받은 인증서를 선택해줍니다.

이제 https로 접속해보면 경고메시지 없이 바로 접속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DDNS설정은 다음글로 작성하여 이 글에서 갱신할 예정입니다.

모두 설치가 잘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Leave a Comment